본문 바로가기
생활 건강

추위를 많이 타는 이유 질환 4가지

by '-'- 2023. 3. 9.

한겨울이 아닌데도 추위를 잘 타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우리가 추위를 느끼면 몸이 움츠러들고 다른 사람들보다 옷도 더 껴입게 되는데요.

추위를 느끼는 것은 몸에서 반응하는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춥지 않은 환경인데도 과도하게 추위를 느끼게 되는 경우에는 몸의 질환을 의심 해봐야 합니다.

 

오늘은 추위를 많이 타는 이유가 되게 하는 질환 4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셔서 추위를 많이 타는 질환을 알아가시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추위를 많이 타는 이유 질환 4가지

 

📌 1. 갑상선기능저하증입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정하증이 있다면 몸이 차가워 질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저하되면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체온이 낮아져 추위를 많이 타게 됩니다. 갑상선저하증 증상이 의심된다면 갑상선호르몬을 보충하는 치료를 해야 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갑상선 호르몬제를 통해 갑상선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게 해야 합니다. 

 

📌 2. 동맥경화증입니다.

동맥경화증은 우리 몸을 차갑제 만듭니다. 동맥경화증이 생기면 말초 혈관으로 가는 혈액이 줄어들며 손, 발이 차가워지게 됩니다. 동맥경화 증상이 있는 분들은 손보다 발이 매우 차가우며 특히 한쪽 발만 차가운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발이 시린 증상과 더불어 계단 등을 오르 내릴 때 종아리에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 3. 하지정맥류입니다.

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에 증상이 일어나면 추위에 타기 쉽습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다리가 차갑고 쉽게 피곤해진다면 하지정맥류 증상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하지정맥류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고 있는 것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4. 당뇨병입니다.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몸에서 추위를 많이 타게 됩니다. 피부와 근육 감각을 담당하는 말초 신경이 손상 되어 발이 차갑고 저린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당뇨 증상 10가지 핵심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당뇨 증상 10가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당뇨는 우리나라 질환 부담률이 1위인 질병으로 많은 분들께서 당뇨병을 앓고 계십니다. 또한 치료 비용도 많이 들고 합병증도

shareinfor.tistory.com

 

위의 질환 외에도 스트레스, 수면부족, 탈수, 빈혈, 월경 증후군 등으로 일시적으로 추위를 많이 타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두통 원인 12가지와 치료 방법은?

저는 일상에서 편두통에 자주 시달리곤 합니다. 편두통이 한 번 일어나면 그 날 하루종일 머리가 아프고 심한 경우에는 밥도 못먹고 기운이 쫙 빠져서 의사소통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데요.

shareinfor.tistory.com

 

 

손등 핏줄 튀어나오는 이유 6가지, 해결법, 치료방법은?

어느 날 손등을 보았는데 예전과는 다르게 갑자기 손등에 핏줄이 튀어나온 것을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생각하고만 있었는데 원래 핏줄이 없던 손등에 튀어나오니 신

shareinfor.tistory.com

 

글을 마치며

 

날씨가 춥지 않은데도 손발이 자주 시렵거나 추위를 많이 느낀다면 위의 4가지 질환을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위의 4가지 중 한 가지에 해당된다고 생각이 드시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고 진료를 받는 것이 건강한 몸을 만드는 가장 큰 지름길입니다. 

 

오늘은 추위를 많이 타는 이유 질환 4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찾으시는 정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하루 만보 걷기 효과 8가지, 칼로리, 부작용은?

하루에 1만보 걷기는 건강에 매우 좋은 활동입니다. 하루 만보라는 기준이 24시간 안에 만보를 걷는 기준인데요. 기본적으로 7km~8km되는 거리입니다. 요즘에는 중장년층을 넘어 젊은 분들까지도

shareinfor.tistory.com

댓글